사단법인 한국기록전문가협회

Korea Association of Records Managers and Archivists

NOTICE/아키비스트의 눈

[야단법석] 기록관리와 여성(3) - 들어도 들어도 모자란 목소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3. 26. 13:29
'기록인칼럼' 3월의 지정주제는 ‘기록관리와 여성’입니다.
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기록관리와
여성의 관계, 기록관리계의 여초현상 등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들어도 들어도 모자란 목소리

정인(定印)

불이 켜졌다. 
 
97년 어느 날, 혜화동 작은 소극장은 흐느끼는 소리로 가득 찼다. 나는 눈물이 멈추질 않아 고개만 치켜들고 있었다. 일행들 중 누구 하나도 먼저 일어나자는 말을 하지 못했다. 일본군 위안부의 ‘낮은 목소리’를 처음 듣던 그 날을 그렇게 기억한다. 얼마 전 그들 중 한 분인 이용수 할머니가 한 정당의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했다는 말을 들었을 때, 그 날이 떠올랐다. 시간이 흐르기만을 기다리는 일본 정부와 무기력하기만 한 한국 정부를 더 이상 믿지 못하고 팔을 걷고 나선 것이다. 
 
‘한을 풀기 위해’ 국회의원이 되겠다는 선언은 마치 “나는 여전히 여기서 살아있소”라는 존엄한 한 인간의 존재를 선언하는 것처럼 들렸다. 그제서야 나도 모르게 어느새, 그 일을 오래된 역사처럼 안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그 동안 많은 증언 기록이 쌓였고, 역사관도, 추모관도 세워졌으며 새로운 기록들도 발굴이 됐다. 여기저기서 열리는 전시회는 사람들에게 위안부 할머니의 아픔을 느끼게 했고, 인터넷과 책을 통해 어린아이들도 이제는 그 이야기를 안다. 그러면서 우리는, 어쩌면 이 모든 것들을 오랜 흑백 사진첩을 열어보듯이 기억하고 있지는 않았을까. 할머니들은 이번 주에도 수요일이면 상처난 몸을 이끌고 일본 대사관 앞에 설 것인데도. 
 
91년 처음으로 세상에 목소리를 냈던 200여 명의 할머니들은 어느새 60여 명으로 줄어들었다. 한 분 한 분 할머니가 세상을 떠날 때면 손가락 사이로 자꾸 새어나오는 모래알이 쿵하고 가슴에 떨어질 것만 같다. 결국 빈주먹만을 움켜쥐게 될 때엔 더 이상 할 수 있는 일은 없을 것이란 사실을 잘 안다. 할머니들의 상처는 치유되지 못한 채 남을 것이고, 우리는 그 분들의 목소리를 더 이상 받아 적지 못하게 될 것이다. 
 
기억하자고 이야기하기에는 이른 일이 있다. 우리는 여전히 할머니의 따뜻한 손을 잡을 수 있다. 작년 어느 시민단체가 지자체에게 할머니들의 기록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했다. 나서지 않으면 아무도 남겨주지 않는 목소리들이 있다. 강한 자의 목소리가 아니라 약하고 상처받은 자의 그것은 더 남기기 어렵기 마련이다. 잊지 않기 위해서가 아니라 같이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아직도 들어야 할 목소리는 남아있다. 할머니의 목소리는 아직 끝나지 않았고 기록을 남기는 사람은 그 목소리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할머니를 기억 속에 가둬 두었던 내 모습을 반성한다.